본문 바로가기
엑셀 파헤치기

AND, OR 함수 파헤치기 #2

by 버스트 2021. 5. 2.

AND, OR 함수 파헤치기 #2

 

이번에는 지난 시간에 배운 AND와 OR 함수를 함께 사용하는 방법을 배워보려고 합니다.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두 함수를 모두 활용하여 조건(식)을 구성하기도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예제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AND, OR 함수 예제(1) 

 

예제1

위 에제를 보면 크게 조건은 두 가지로 획득 점수가 ①60~70점 사이 인지 ②90~100점 사이 인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우선 ①60~70점 충족 여부②90~100점 충족 여부는 앞서 배운 AND 함수를 통해 확인을 하고, ①과 ②의 조건 중 하나만 만족해도 되므로 다시 각각의 조건을 OR 함수로 산출하게 됩니다.

 

하나씩 살펴보면 ①번 조건AND(획득 점수>=60,획득 점수<=70) 수식으로,  ②번 조건AND(획득 점수>=90,획득 점수<=100)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최종적으로 ①과 ②의 조건 중 하나만 만족해도 되므로 수식은 OR(①번 조건,②번 조건)과 같이 정리할 수 있으며, 종합해보면 OR(AND(획득 점수>=60,획득 점수<=70),AND(획득 점수>=90,획득 점수<=100))이 됩니다.

 

이에 따라 획득 점수가 60~70점 사이 이거나 또는 90~100점 사이면 TRUE, 아니면 FALSE를 반환하게 됩니다.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풀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예제1 풀이

'김가가'는 획득 점수 95점으로 ②번 조건인 90~100점 사이를 만족하므로 TRUE.

'이나나'는 84점으로 ①, ②번 조건 모두 만족하지 않으므로 FALSE.

'박다다'는 77점으로 역시 ①, ②번 조건 모두 만족하지 않으므로 FALSE.

마지막으로 '강라라'는 ①번 조건을 만족하므로 TRUE가 반환됩니다.

 

 

2. AND, OR 함수 예제(2)

 

예제2

예제 1번과 문제의 내용은 동일하나 약간의 차이가 있는 예제입니다.

 

예제 1번의 경우 획득 가능 점수의 범위가 지정되지 않아 획득 가능한 최저점과 최고점을 알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범위를 지정할 때 AND(획득 점수>=조건의 최저점,획득 점수<=조건의 최고점)으로 각각 범위를 지정해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예제 2번에서는 획득 가능한 최저점과 최고점이 명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수식을 작성하는데 조건 범위를 하나만 지정해도 되는 선택권이 추가되었습니다.

 

물론 예제 2번 문제에 예제 1번에서 작성한 수식을 적용해도 문제는 없습니다. 하지만 수식이 길어지면 복잡해지고 추가된 조건에 의해 좀 더 간단히 수식을 정리할 수 있다면 이 방법 역시 배워 볼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제시된 문제에는 확인이 필요한 각 조건의 범위와 최저, 최고점이 일치합니다. 그러므로 굳이 AND 함수를 통해 획득 점수의 최저점과 최고점을 비교하는 조건을 넣지 않아도 되며, OR 함수만으로 해결이 가능합니다.

 

OR(획득 점수<=70,획득 점수>=90)과 같이 수식을 작성하면 아래와 같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제2 풀이

 

 

3. AND, OR 함수 예제(3)

 

예제3

마지막으로 살펴볼 예제는 2번 예제와 비슷하지만 획득 가능한 최저점(50점)이 확인할 조건의 최저점(60점)과 일치하지 않는 상황입니다.

 

이 경우 단순히 '획득 점수<=70'이란 조건으로만 표현하면 50~59점을 획득한 사람도 TRUE값이 반환되므로 이때는 최저점에 대해서는 AND 함수를 통해 별도의 조건으로 지정을 해야 됩니다.

 

따라서 수식은 OR(AND(획득 점수>=60,획득 점수<=70),획득 점수>=90)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해당 수식을 적용하여 풀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예제3 풀이

 

OR 함수와 AND 함수를 같이 적용할 때 어떤 함수가 최종 적용 함수가 되고 어떤 함수가 인수로 포함되는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므로 적용하고자 하는 조건을 정확히 확인한 후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이해하기 쉽게 숫자(점수)를 통해 이상, 이하의 개념으로 적용하였지만 문자와 수식, 다양한 논리 값 등으로 적용할 수도 있으므로 기본적인 개념을 익힌 후 확장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