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엑셀 파헤치기

AND, OR 함수 파헤치기 #1

by 버스트 2021. 5. 1.

AND, OR 함수 파헤치기 #1

 

이번에 배워볼 함수는 AND와 OR 함수입니다.

 

AND와 OR 함수는 비교적 사용법이 간단한 편으로 함수 안의 인수는 확인하고자 하는 조건(식)이 들어가게 됩니다.

 

이 두 함수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엑셀에서 조건을 설정할 때 많이 활용되는데 많은 분들이 알고 있듯 AND는 '그리고', OR은 '또는'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의미에 따라 각 함수 안에 여러 가지 조건이 들어갈 때 AND는 함수 안의 모든 조건이 만족할 때만 TRUE 값을 반환하며, OR 함수는 여러 가지 조건 중 하나의 조건만 만족해도 TRUE 값을 반환하게 됩니다.

 

함수 자체로는 단순히 조건에 따른 TRUE, FALSE 값만 반환하게 되므로 조건의 충족 여부 확인만 가능하지만 IF 함수의 인수로 포함되어 다양한 조건에 따른 값을 반환하도록 하는 수식으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아래에서 본격적으로 두 함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AND 함수의 구조

 

AND 함수는 함수 안에 인수로 1~255개의 조건(식)을 넣을 수 있습니다.

 

AND(조건1,조건2,조건3,...,조건255)의 형태이며, 함수 마법사를 통해 아래와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AND 함수의 인수

AND 함수 안에 지정한 조건이 모두 만족할 때(조건1 만족, 그리고 조건2 만족, 그리고 조건3 만족....) TRUE 값이 반환되며,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을 경우 FALSE 값을 반환하게 됩니다.

 

 

2. AND 함수 예제(1)

 

AND 함수 예제를 통해 더욱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제1

각 인원별 1, 2차 점수에 대해 1차와 2차 점수가 모두 90점 이상인지 확인하는 예제입니다.

 

1차와 2차 모두 90점을 넘어야 되므로 '①1차 점수가 90점 이상 그리고 ②2차 점수도 90점 이상'이 표현되도록 수식을 만들어야 됩니다.

 

위의 방법대로 식을 만들기 위해서는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되므로 AND 함수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수식을 만들 수 있습니다.

AND(1차 점수>=90,2차 점수>=90)

 

예제를 풀어보면 아래의 내용과 같습니다.

예제1 풀이

결과 셀에 1차와 2차 점수가 입력된 B, C열의 값을 90점과 비교하여 모두 90점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TRUE, FALSE의 결과로 표시하게 됩니다.

 

예제에서 '김가가'는 1차 점수가 90점 이상이었으나, 2차 점수가 78점으로 90점 이상이 되지 않아 FALSE.

'이나나'는 1, 2차 모두 90점 이상이 되지 않아 FALSE.

'박다다'는 모두 90점 이상으로 TRUE가 반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ND 함수는 반드시 함수 안에 제시된 모든 조건을 만족해야 TRUE 값을 반환하므로 이 부분을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3. AND 함수 예제(2)

 

예제2

예제 1과 비슷하지만 약간 다른 내용으로 획득 점수가 80~90점 사이에 있는지 확인하는 예제입니다.

 

예제 1에서는 비교 대상이 1, 2차 두 점수와 기준인 90점이었다면, 예제 2에서는 하나의 점수와 80, 90점이라는 두 기준이 비교 대상이 됩니다.

 

예제를 풀기 위해 식으로 나타내면 '점수가 80점 이상, 그리고 90점 이하'라는 조건을 대입해야 되므로 다음과 같이 수식을 만들 수 있습니다.

AND(점수>=80,점수<=90)

 

예제를 풀어보면 아래의 내용과 같습니다.

예제2 풀이

B열의 각 셀에 입력된 값이 80점 이상, 90점 이하인지에 따라 TRUE, FALSE를 반환하게 됩니다.

 

※아직 OR 함수 포스팅 전이지만 만약 해당 수식에 OR 함수를 적용하면 어떻게 될까요?

 

OR 함수를 적용하면 둘 중 하나의 조건만 만족해도 TRUE 값이 반환되므로 80점 이상이거나 90점 이하면 TRUE를 반환하게 됩니다.

'김가가'의 경우 95점으로 90점 이하라는 조건에는 만족하지 않지만 80점 이상이라는 조건에 만족하므로 TRUE.

'이나나'의 경우 획득 점수 84점으로 80점 이상, 90점 이하라는 두 조건에 모두 만족하므로 TRUE.

'박다다'는 77점으로 80점 이상 조건은 만족하지 않으나, 90점 이하라는 조건은 만족하므로 역시 TRUE라는 결과가 나옵니다.

 

아래에서 OR 함수에 대해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4. OR 함수의 구조

 

OR 함수는 AND함수와 같이 1~255개의 조건(식)을 인수로 넣을 수 있습니다.

 

OR(조건1,조건2,조건3,...,조건255)의 형태이며, 함수 마법사를 통해 아래와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OR 함수의 인수

OR 함수 안에 지정한 조건 중 하나라도 만족할 때(조건1 만족, 또는 조건2 만족, 또는 조건3 만족....) TRUE 값이 반환되며, 모두 만족하지 않을 경우 FALSE 값을 반환하게 됩니다.

 

 

5. OR 함수 예제

 

간단하게 OR 함수를 통해 두 개의 점수 중 하나라도 조건에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예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제

1차와 2차 중 하나만 90점 이상이면 되므로 OR(1차 점수>=90,2차 점수>=90)의 수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위 수식을 적용하여 풀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예제 풀이

B열과 C열의 각 셀에 있는 1, 2차 점수와 90을 비교하여 하나라도 90점 이상을 기록한 경우 TRUE 값을 반환하게 됩니다.

 

'김가가'는 2차 점수는 78점으로 90점 이상을 기록하지 못했지만 1차 점수에서 95점을 기록하여 조건을 만족했으므로 TRUE.

'이나나'는 1, 2차 모두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였으므로 FALSE.

'박다다'는 모두 90점 이상을 기록하여 TRUE라는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AND와 OR 함수는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므로 사용법을 익혀두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