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엑셀 파헤치기

엑셀 셀 내용, 문자 합치기(& / CONCATENATE / PHONETIC)

by 버스트 2021. 5. 18.

엑셀 셀 내용, 문자 합치기(& / CONCATENATE / PHONETIC)

 

이번 포스팅에서는 각 셀에 있는 내용을 합치거나 직접 셀에 '='을 통해 식을 입력할 때 수식의 결과와 특정 문자가 같이 입력된 값이 나올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엑셀 2016 이상 버전을 사용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TEXTJOIN 함수를 통해 일정 범위의 셀 내용을 하나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2013 이하 버전에서는 불가능하므로 다른 함수를 통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모든 범위'가 아닌 특정 셀의 내용을 합치는 내용을 다루고자 합니다.

 

 

1. '&' 기호 사용하기

 

우선 가장 먼저 '&' 기호를 통해 셀과 셀, 문자와 문자, 셀과 문자 등을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사용법은 연결하려고 하는 셀, 문자 사이에 '&' 기호를 넣어주면 되며, 아래 예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제1

각 셀에 주소가 구분되어 있으며, 이를 하나의 셀에 합친 결과를 표시해야 됩니다.

이를 풀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예제1 풀이(1)

A, B, C열에 표시된 셀 값을 '&' 기호를 이용하여 하나의 셀에 결과를 나타낸 상태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셀 값을 그대로 연결하다 보니 1, 2, 3으로 구분한 지역 단위별 내용이 잘 확인되지 않고 띄어쓰기 없이 모든 셀의 내용을 하나로 합친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각 셀과 셀을 연결할 때 사이에 빈칸을 넣어 하나의 셀에 결과를 표시해도 지역 단위별 구분이 될 수 있도록 조금 수정해보겠습니다.

예제1 풀이(2)

풀이(1)과 사용한 수식은 비슷하지만 각 셀 사이에 " "을 추가하여 빈칸이 나오도록 하였습니다.

 

풀이(1)은 셀과 셀의 값을 연결한 것이라면, 풀이(2)는 셀과 문자(" "도 빈칸을 의미하는 문자로 볼 수 있음)를 연결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엔 조건에 따라 각각 다른 셀의 값을 연결해야 되는 경우 어떻게 해야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예제2

표의 좌측에 특정 기호가 지정되어 있고 기호 조건에 따라 주소를 연결에 적용하는 셀이 달라지는 문제입니다.

 

조건에 따라 연결 대상 셀이 달라지므로 IF 함수를 통해 기호 조건에 따라 '&'로 연결하는 셀을 각각 지정하는 방법으로 풀 수 있습니다.

 

※ 여기서 풀이법은 IF 함수 안에 기호 조건부터 조건식 결과에 따른 TRUE, FALSE 반환 값을 모두 넣는 방법과 기호가 'A', 'B'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구분 1의 주소는 무조건 포함되므로 우선 가장 앞에 주소 구분 1의 값이 위치하도록 한 후 '&'를 통해 IF 함수와 연결하여 기호 조건에 따라 구분 2의 주소를 연결할 것인지, 구분 3의 주소를 연결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방법 두 가지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해당 내용으로 수식을 작성하여 풀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예제2 풀이

결과 1은 IF 함수 안에 모두 포함한 것으로 IF(기호 조건,TRUE일 때 연결 값,FALSE일 때 연결 값) 형태입니다.

결과 2는 주소 구분 1의 B열 값을 앞에 지정한 후 뒤에 IF 함수를 통해 기호 조건에 따른 연결 값이 올 수 있도록 수식을 작성한 형태입니다.

 

수식 작성에 정답은 없으며, 방법이 다양하고 상황에 따라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다양한 풀이법을 응용해 보면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 CONCATENATE 함수 사용하기

 

CONCATENATE 함수는 함수의 인수로 지정한 값 또는 셀을 하나로 연결하는 함수입니다.

 

앞서 풀었던 예제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제 및 풀이

결과 1은 주소 구분 사이에 빈칸을 삽입하지 않은 경우이며, 결과 2는 주소 구분 사이에 빈칸을 삽입한 경우입니다.

위에서 확인할 수 있듯 연결하고자 하는 셀 또는 문자를 함수의 인수로 넣어주기만 하면 완료됩니다.

 

만약 함수를 통해 특정 범위의 셀 값을 연결할 수 있다면 굉장히 유용하게 사용 가능한 함수라 할 수 있지만 각 인수는 모두 콤마(,)로 연결해야 된다는 점 때문에 활용도가 많이 떨어지며, 굳이 '&' 기호 대신 사용할 만큼 장점이 많은 함수는 아니기에 이 정도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3. PHONETIC 함수 사용하기

 

PHONETIC 함수는 원래 아래와 같이 한 셀에 윗주를 통해 기존 내용 위에 새로운 내용을 작성한 경우 해당 셀의 윗주에 해당하는 내용을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윗주

따라서 PHONETIC 함수의 인수로 A1셀을 넣으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PHONETIC 함수

이렇게 윗주를 반환하는 경우 사용되는 함수지만 윗주가 없는 경우에는 숫자를 제외하고 셀에 입력된 내용을 그대로 반환하게 됩니다.

 

PHONETIC 함수의 장점은 바로 범위를 지정하면 해당 범위에서 숫자를 제외한 모든 내용을 그대로 연결하여 반환한다는 것입니다.

 

예제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제 풀이(1)

앞서 확인한 예제와 동일한 문제이며, PHONETIC 함수를 통해 각 셀을 하나씩 지정하지 않고 A3부터 C3까지 범위를 지정하여 결과를 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중간에 특정 문자나 빈칸이 포함되어야 될 경우 해당 문자 또는 빈칸이 있는 범위를 별도로 해당 위치에 만들어야 되는 불편함이 있으나 이러한 조건 없이 셀의 값을 하나로 연결해야 되는 경우에는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한 함수입니다.

 

중간에 빈칸이 들어있는 열을 추가하여 수식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예제 풀이(2)

숫자의 경우 값이 반환되지 않으므로 숫자를 텍스트 서식으로 입력(숫자 앞에 '기호 추가) 한 후 수식을 적용해야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셀과 셀, 문자와 문자, 문자와 셀을 합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다양한 경우에 활용이 가능하므로 함수와 기능을 꾸준히 연습해보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