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UNT, COUNTIF, COUNTIFS 함수 파헤치기 #1
이번 포스팅에서는 COUNT 계열 함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볼 함수는 COUNT 계열 함수 중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COUNT, COUNTA, COUNTBLANK, COUNTIF, COUNTIFS 함수입니다.
각 함수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COUNT → 지정된 범위에서 숫자가 포함된 셀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
COUNTA → 지정된 범위에서 비어있지 않은 셀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
COUNTBLANK → 지정된 범위에서 비어있는 셀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
COUNTIF → 지정된 범위에서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조건이 한 개일 때 사용 가능)
COUNTIFS → 지정된 범위에서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조건이 여러 가지일 때 사용 가능)
1. COUNT, COUNTA, COUNTBLANK 함수 설명 및 예제
각 함수의 구조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①COUNT(범위), ②COUNTA(범위), ③COUNTBLANK(범위)로 수식을 작성할 수 있으며, 함수 마법사를 통해 아래와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제를 통해 간단히 해당 함수의 사용법을 익혀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제의 표에는 물건의 품목과 수량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표에 품목이 몇 개 제시되어 있는지 COUNT, COUNTA 함수를 통해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예제는 두 함수를 이용해 위와 같이 풀 수 있으며, COUNT 함수는 숫자만 셀 수 있으므로 숫자가 표시된 B열의 수량을 범위로 지정해야 됩니다.
반면 COUNTA 함수는 지정된 범위에서 비어있지 않은 셀의 개수를 구할 수 있으므로 품목이 표시된 A열 또한 범위로 지정하여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COUNTBLANK 함수는 어떤 경우에 사용할 수 있을까요?
아래와 같은 예제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표에 품목은 지정되어 있지만 수량이 비어있는 항목이 있습니다. 예제에는 한눈에 두 개가 비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만약 데이터가 수 백, 수 천 가지가 된다면 바로 확인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따라서 이럴 때 COUNTBLANK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함수를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풀어볼 수 있습니다.
B9셀에 COUNTBLANK 함수를 사용하여, 수량이 공란으로 되어있는 셀의 개수를 구할 수 있었습니다.
만약 동일 범위를 지정하여 COUNT 함수를 사용하면? B14셀에 표시된 바와 같이 '3'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문제가 '수량이 집계된 품목의 개수를 구하라' 였다면, COUNT 함수나 COUNTA 함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조금 복잡하고 굳이 사용할 필요가 없는 방법일 수 있지만 좀 더 응용해서 생각해보면 '수량이 집계되지 않은 품목의 개수'는 곧 '전체 품목의 개수 - 수량이 집계된 품목의 개수'로 식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위의 방법으로 풀어 본다면 답은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COUNTA 함수를 통해 총품목의 개수를 구하고 COUNT 함수를 통해 수량이 집계된(입력된) 셀의 개수를 구한 후 둘의 차이를 구하면 집계되지 않은(비어있는) 셀의 개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함수를 계속 응용하면서 풀이법을 익히다 보면 자연스럽게 다양한 사용법을 익힐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 예제를 만들고 풀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COUNTIF와 COUNTIFS 함수에 대해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엑셀 파헤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AVERAGE, AVERAGEIF, AVERAGEIFS 함수 파헤치기 (0) | 2021.05.10 |
---|---|
COUNT, COUNTIF, COUNTIFS 함수 파헤치기 #2 (0) | 2021.05.09 |
엑셀 텍스트(문자) 형식(서식)의 숫자 일괄 변경 팁 (1) | 2021.05.07 |
SUM, SUMIF, SUMIFS 함수 파헤치기 (0) | 2021.05.06 |
엑셀 버튼으로 시트 이동하기 팁 (0) | 2021.05.05 |
댓글